GitHub Pages 시작하게 되었다!
최근 방학과 겹쳐 공부와 거리감이 느껴져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TIL(Today I Learned)을 기록하기로 결심했다. TIL은 하루하루 배운 내용을 짧고 간단하게 기록하는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고 공유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단순히 레포지토리에 커밋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GitHub Pages를 알게 되었다. GitHub Pages는 레포지토리와 연결하여 쉽게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 Github Pages 소개
https://docs.github.com/ko/pages/quickstart
GitHub Pages는 GitHub를 통해 호스팅되고 게시되는 퍼블릭 웹 페이지 서비스이다. GitHub Pages는 무료로 제공되며, 개인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블로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프론트엔드를 잘하지 못하여 블로그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을까봐 걱정하였는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블로그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Jekyll 테마를 제공해준다. 이를 통하여 블로그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은 미리 만들어진 테마를 사용해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기 전에 간단하게 레포지토리를 만드는 방법부터 작성하려고 한다.
2. Github 가입
GitHub Pages를 사용하려면 먼저 GitHub 계정이 필요하다. 이미 계정이 있는 분들은 로그인하면 되고, 계정이 없는 분들은 GitHub 가입 페이지에서 계정을 생성하면 된다. 가입 절차는 간단하며, 이메일 인증만 하면 바로 GitHub를 사용할 수 있다.
3. 새로운 레포지토리 생성
GitHub Pages를 시작하려면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야 한다.
- GitHub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 버튼을 클릭하고, 'New repository'를 선택한다.
- 레포지토리 이름을 <username>.github.io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나는 username이 leeseobin00이므로, leeseobin00.github.io로 레포지토리를 생성했다.
- 공개 범위는 'Public'으로 설정하고,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file' 옵션을 체크했다.
-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여 레포지토리를 생성했다.
이제 생성된 레포지토리에 접속할 수 있다. 브라우저에서 <username>.github.io를 입력하면 기본 페이지가 나타날 것이다.
4. 파일 (index.html) 업로드
레포지토리를 생성한 후, 웹 페이지에 표시될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index.html 파일을 업로드했다.
- 생성된 레포지토리로 이동한 후, 'Add file' 버튼을 클릭하고 'Upload files'를 선택한다.
- 로컬에서 작성한 index.html 파일을 업로드한다.
-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고 'Commit changes'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브라우저에서 <username>.github.io를 입력하면 업로드한 index.html 파일의 내용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간단하게 웹 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GitHub Pages는 개발자가 간편하게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었다. 이를 활용하여 TIL을 꾸준히 작성하고 공유하려고 노력해야겠다!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조직(Organization) Readme 작성하기 (2) | 2024.11.27 |
---|---|
[Github] Chirpy 테마로 GitHub Pages 시작하기 (0) | 2024.06.11 |
[Github] SSAFY 스터디에서의 깃허브 활용 방법 (0) | 2024.03.26 |
[Github] Readme로 프로필 꾸미기 총정리 (0) | 2024.03.25 |